수족구병이란?
입 안,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이 특징적인 바이러스성 질환
수족구병은 주로 콕사키 바이러스 A16 또는 엔테로 바이러스 71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으로, 여름과 가을철에 흔히 발생하며 입 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콕사키 A 바이러스 5, 6, 7, 9, 10, 콕사키 B 바이러스 2, 5도 원인이 된다.
원인
주로 콕사키 바이러스 A16에 의해 발생하며 최근 엔테로 바이러스 71에 의한 수족구병의 집단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콕사키 A 바이러스 5, 6, 7, 9, 10, 콕사키 B 바이러스 2, 5도 원인이 된다.
증상
여름과 가을철에 흔히 발생하며 입 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대개는 가벼운 질환으로 미열이 있거나 열이 없는 경우도 있다. 입 안의 인두는 발적되고 혀와 볼 점막, 후부인두, 구개, 잇몸과 입술에 수포가 나타날 수 있다. 발진은 발보다 손에 더 흔하며 3~7mm 크기의 수포성으로 손바닥과 발바닥보다는 손등과 발등에 더 많다. 엉덩이와 사타구니에도 발진이 나타날 수 있고, 엉덩이에 생긴 발진은 대개는 수포를 형성하지 않는다. 수포는 1주일 정도가 지나면 호전된다.
엔테로 바이러스 71에 의해 생긴 수족구병은 콕사키 바이러스 A16보다 더 심하게 나타나며 무균성 뇌막염, 뇌염, 마비성 질환 등의 신경계 질환을 동반할 수 있다.
진단 & 검사
신경계 증상이 있는 경우 인두 분비물, 대변, 뇌척수액 등을 채취하며 바이러스 배양검사를 통해 원인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다.
치료
대부분의 환자들은 7~10일 후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 있다. 입안 병변으로 인하여 경구 섭취가 어려워 탈수가 우려되는 경우 수액 치료를 포함한 대증 요법을 할 수 있다. 심한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 그에 따른 치료를 받게 된다.
대처방법 - 집에서 아이를 도와줄 수 있는 방법
수족구병에 걸리면 3가지를 특히 주의해야 한다.열이 많이 나는 경우 열성 경련을 주의하시고 입이 아파서 잘 먹지 못하는 경우 탈수를 주의하시고 드물게 수족구병의 원인이 바이러스가 같이 일으키는 뇌막염이나 심근염을 주의한다.
1) 열성경련 주의하기
열이 많이 나는 경우 해열제를 사용하시고 그래도 열이 떨어지지 않고 심하게 열이 나면 옷을 벗기고 3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로 닦아준다. 해열제를 사용하면 열을 떨어뜨릴 수가 있고 해열제의 진통 효과로 입안이 아픈 것을 줄여줄 수 있다. 권장되는 해열제는 타이레놀과 부루펜이다. 단 6개월 이전의 아가는 부루펜을 사용하지 마시고 아이가 탈수가 심할 때도 부루펜을 사용해서는 곤란한 경우가 있다. 18세 이전에는 아스피린을 사용하는 것도 피한다. 6개월이 지난 아기가 고열이 있는 경우는 부루펜을 조금 더 권장하는데 부루펜을 사용하면 타이레놀보다 해열제의 지속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자주 먹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2) 잘 먹이기
아이가 수족구병에 걸렸으면 잘 먹여야 한다. 하지만 아무리 엄마가 잘 먹이려고 노력을 해도 입안이 아픈 아이가 잘 먹을 수는 없다. 잘 먹지 못하는 경우 부드럽고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주는 것이 좋다. 씹어야 하는 음식을 먹기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따뜻한 음식보다는 찬 음식을 더 잘 먹을 수 있다. 찬물도 상관이 없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맛있게 먹는 아이스크림을 주면 좀 아프더라도 잘 먹는다. 그래서 이 병을 어떤 의사들은 아이스크림 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이스크림은 탈수를 막는 효과와 통증을 줄이는 이중의 효과가 있다. 맵고 시고 자극적인 음식보다는 담백하고 음식이 좋다. 과일 주스를 먹이는 것도 좋은데 신맛이 나는 오렌지 주스 같은 것은 피해야한다. 감귤이나 사과 같은 것도 신 것을 주면 안 된다.
3) 입 안 통증 줄여주기
우유병을 빨면 입안의 헐은 곳에 부딪혀 아프기도 하고 빨 때 자극을 받아 힘들어 할 수 있으므로 분유나 물은 컵으로 준다. 그것도 싫어하면 숟가락으로 주어도 좋다. 만일 많이 아파서 잘 먹지 못하는 경우는 타이레놀이나 부루펜을 사용할 수 있다. 그래도 입이 아파하는 아이의 경우는 입안 병변 부위에 제산제를 발라주기를 권장하는 소아청소년과 의사도 있다. 찻숟가락으로 소금을 담아 입에 넣어주면 편해하는 아이들이 있다. 하루에 4번을 줄 수 있다. 좀 큰 아이의 경우 양치하듯이 뱉어주어도 된다. 실제로 심한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소아과 청소년과 의사의 처방이 있을 때만 사용한다.
예방방법
기저귀를 갈고 난 후나 분변으로 오염된 물건을 세척하고 난 후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잘 씻도록 해야 한다. 환자 아이와의 신체 접촉을 제한함으로써 감염 위험성을 낮출 수 있고 감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발병 초기 수일간 집단생활에서 제외시키기도 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중독 증상? 여름철 식중독 원인과 증상 예방 방법 (0) | 2022.07.29 |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0) | 2022.07.29 |
대상포진 초기증상 전염성 원인 예방접종 (0) | 2022.07.28 |
더위 먹었을 때 열사병 증상 치료 예방 방법 (0) | 2022.07.27 |
냉방병 증상과 원인은? 치료 및 예방, 음식 (0) | 2022.07.27 |
댓글